방송통신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0일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 제2차 전체회의'를 열어 지난해 11월 발표된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 5대 전략, 12개 세부 과제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일정 등을 공유했습니다. 또한 불법스팸 방지를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 및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발의 현황 등을 공유했는데요, 통신3사를 비롯한 참석자들은 하위 법규 마련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① 불법스팸 전 단계 부당이익 확수, ② 대량문자 유통시장 정상화, ③ 불법스팸 발송 차단 강화, ④ 불법스팸 수신 차단 강화, ⑤ 스팸차단 거버넌스 구축
간편 인증 확산에 실물 OTP 역사속으로… 7월부터 6개 업체 OTP 사용 중단
[조선Biz]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7월, 6개 업체의 실물형 일회용비밀번호생성기(OTP) 사용이 중단됩니다. 공동인증서와 모바일 OTP 등의 새로운 보안매체 확대로 실물형 OTP 제조업체가 대거 폐업했기 때문인데요, 금융사들은 실물 OTP를 사용하는 고객에게 모바일 OTP 등 다른 매체 사용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폐업한 6개 업체의 OTP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7월 이전에 금융사를 방문해 다른 제조업체 제품을 발급받거나 인증 방식을 교체해야 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지난 9일, 스미싱 등 악성 문자를 발송 단계에서부터 차단할 수 있는 '엑스레이 사전 차단 서비스' 시범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악성 문자 속의 스미싱 유도 링크 등이 포함됐는지 면밀히 들여다본다는 의미에서 '엑스레이' 차단 시스템으로 명명됐는데요, 시범 서비스를 도입한 문자 재판매사나 중계사가 악성 문자인지 파악하면 이용자에게 전달하기 전에 KISA에 스미싱 검사를 의뢰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