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간편지급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액이 전년대비 9.6% 증가한 9600억원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중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 기프트카드 등에 미리 충전한 선불금으로 간편결제나 송금 등을 하는 선불전자지급에 기반한 간편지급이용액은 1620억원으로 1년 새 15.6% 늘며 비중이 확대됐습니다. 관계자에 따르면 간편 지급서비스 규모가 확대되면서 전자금융업자 비중이 늘어난 반면, 금융회사 비중이 축소되고 있는 점이 특징이며 특히 전자금융업자의 경우 선불전자지급 수단에 기반한 간편지급이용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합니다.
‘문화상품권’과 ‘온라인 문화상품권’ 발행 회사인 ㈜문화상품권이 법상 의무인 선불업 등록을 하지 않은 채 영업해 소비자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권에선 ㈜문화상품권의 부채비율이 2만%에 육박하는 등 회사 존속 가능성에 의구심마저 제기되는데요, 정부는 문화상품권 소비자를 대상으로 “회사가 파산하거나 영업정지를 당하면 상품권을 환불받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일각에서는 2021년 머지포인트 사태와 작년 해피머니 환불 중단 같은 대규모 피해가 재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갈수록 정교해지는 보이스피싱 사기에 경찰청이 직접 운영하는 피싱 예방앱 '시티즌코난' 사용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티즌코난은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와 인피니그루에서 공동 개발해 운영하는 민관 대응 서비스인데요, 경찰청이 직접 운영하며 앱을 내려받으면 보이스피싱에 악용되는 악성앱, 원격제어앱, 유사 원격제어앱, 스미싱 등을 순간적으로 탐지할 수 있습니다. 앱이 인기를 끌며 '시티즌코난'을 위장한 피싱앱까지 나타나기도 했는데요, 관련해 국정원은 시티즌코난 모방 악성앱 주의를 요구했습니다.
카카오가 자체적으로 이용자 동의를 받지 않고 광고주의 동의로 메시지를 보내는 ‘친구톡’ 서비스를 연내 출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업계가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사를 통해 보내는 대량 문자메시지와 유사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사기성 광고 메시지를 걸러낼 책임을 부여할 기관이 없어 사실상 규제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게 통신 업계 주장인데요,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기존 문자메시지보다 이용자 편의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스팸 메시지를 줄이려는 노력에 역행하는 흐름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