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는 통신 요금을 내지 못해 빚을 진 이들의 경제적 재기를 돕기 위해 지난해 마련한 방안을 통해 최근까지 8개월간 약 3만 명의 채무 조정을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금융·통신 통합 채무 조정안'이 시행된 지난해 6월 21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통신 요금 채무 조정을 신청해 지원이 확정된 조정 신청액은 612억 5천만 원으로, ▲통신사에 대한 채무 496억 6천만 원(81.1%), ▲소액 결제사 109억 1천만 원(17.8%), ▲알뜰폰 6억 8천만 원(1.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와 금융위원회는 취약 계층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을 지속해 발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 상품권에 대해 소비자들의 환불 요청이 빗발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상품권의 경우 나이스정보통신을 통해 일정 금액을 환불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하자 머지포인트와 티메프 사태 등과 견주어 홈플러스 상품권이 '휴지조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됐는데요, 금융당국 관계자는 "과거 티몬과 머지포인트 사태에서는 선불충전금이 보호되지 않아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었지만, 홈플러스 모바일 상품권의 경우 나이스정보통신이 환불을 보장하고 있어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모바일기기를 사용한 결제 중 간편결제 비율은 50.7%를 차지했는데요, 지갑 없이 생활이 가능해지면서 간편결제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업계는 앞으로 디지털 간편결제의 오프라인 사용량이 늘며 오프라인 시장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특히 오프라인 시장을 공략하면 사용자 락인(Lock-in·묶어두기) 효과, 즉 특정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게 만드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부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막고자 총력 대응합니다. 지난 6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경찰청을 방문해 주요 민생범죄 대응 강화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자금세탁조직 및 범죄수단에 대한 특별단속을 실시하고, 휴대폰 개통 시 안면 인식시스템을 도입해 통신수단을 악용한 범죄 접근 시도를 원천 차단한다는 내용이 골자입니다. 아울러 정부는 이날 통신수단을 악용한 범죄 접근 시도를 차단하기 위한 범부처 방안을 발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