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불법스팸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이동통신사, 문자중계사, 휴대폰 제조사 등 민간 사업자와 힘을 합쳐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난 19일, 첫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협의체는 지난 11월말 발표한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에 따라 정부부처와 민간사업자의 상호 협력 및 공조 방안을 논의하는 추진체계입니다. 특히 이번 회의 참석자들은 불법스팸 근절을 위해서 정부부처와 민간사업자의 긴밀한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에 인식을 함께하고 종합대책 이행을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으며 앞으로 매 분기별로 정기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새해부터 이용자의 통신 사용량을 분석해 적합한 최적의 스마트폰 맞춤형 요금제를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출시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제38차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를 열고 실사용량 기반 최적 맞춤형 스마트폰 요금제 추천 서비스, 전자처방전 보관 서비스 등 5건의 규제 특례를 지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새해 상반기부터 이용자의 통신 이용 정보를 분석해서 실제 사용량에 따른 적합한 스마트폰 요금제를 정기적으로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내년 3월, 개인정보 전송 요구권 제도가 시행되면 이용자들은 해당 정보를 통신사에서 개인정보관리 전문기관 등 다른 기관으로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게 되며 통신사로부터 통신 이용 정보를 받은 기관은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에 기반해 맞춤형 요금제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내년에는 사이버 공격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하는 사례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국내외 정보보안 전문가와 함께 작성한 올해 사이버 위협 분석과 내년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으며, 내년 사이버 위협 전망에 따르면 AI 서비스 사용이 일반화되며 챗GPT와 같은 검증된 모델을 사용한 선전·선동이나 피싱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보고서는 올해 일어난 주요 사이버 위협 양상으로 ▲ 스팸, 피싱 증가에 따른 국민 피해 ▲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등 복합적인 공격 전술 ▲ 랜섬웨어 공격기법 고도화를 꼽았습니다.